연산자 sizeof() 변수의 주소 사용 대입연산자 산술연산자 복합대입연산자 관계비교연산자 1. sizeof() 메모리에 할당 된 데이터 공간의 크기를 계산해주는 함수 결과는 byte 단위로 반환 int a = 5; double b = 2.0; printf("5/2.0 =%.1f\n", a / b); printf("a:%d\nb:%d\na/b:%d\n", sizeof(a), sizeof(b), sizeof(a / b)); /* 결과 * 5/2.0 = 2.5 * a:4 * b:8 * a/b:8 a는 int형이기 때문에 4byte, b는 실수형이기 때문에 8byte */ 2. 변수의 주소 사용 변수명 앞에 & 기호를 붙이면 해당 변수의 메모리 주소(위치)를 사용 주소값을 출력할 때는 %p 서식 문자 사용 int a.. 2022. 9. 5. 연산자(Operator) 연산 관련 용어 연산자 연산에 사용되는 기호나 표시를 연산자라 한다. 피연산자 연산에 사용되는 데이터 또는 변수를 피연산자라 한다. 연산식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사용하여 연산하는 과정을 연산식이라 한다. *** 컴퓨터 프로그램에서는 연산의 결과가 어떤 자료형인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산술연산자 + 덧셈 char + char => int String + 다른 자료형 => 문자연결 - 뺄셈 char - char => int String은 뺄셈 불가 * 곱셈 char * char => int String은 곱셈 불가 / 나눗셈 char / char => int String은 나눗셈 불가 10 /10 => 0으로 나누면 런타임 오류 % 나머지 연산 package day4; public class Operator .. 2022. 5. 18.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