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anguage/python

서식문자(%), 형변환, 아스키코드

by abstract.jiin 2022. 5. 2.

서식문자
1.%
2."".format()

 

data = 10
data2 = "%d" %100
#출력되는 것은 "data : %d" 이다!
# "" 안에 있기 때문에 문자열이다!
print("data : %d" %data)
print(type(data2))
print(data2)
더보기

data : 10
<class 'str'>
100


#문자열값.format()
#print와 format 의 공통점 : 이름뒤에 소괄호가 있다 : 함수
#print() 출력함수
#A.B : A안에 B 

data1 = 10
data2 = 10.4231
data3 ='A'
data4 = "ABC"

print("data1 : {}".format(data1))
#변수자리에 중괄호를 쓰면 정수인지 실수인지 명시할 필요가 없다, format안에서 알려준다.
print("data1 : {}\ndata2 : {}".format(data1,data2))
print("data3 : %s" %data3)
print("data3 : %c" %data3)
#print("data4 : %c" %data4)
#TypeError: %c requires int or char > 정수는 왜?

print("data : %c" %66)
print("data : %c" %67)
print("data : %c" %68)

#아스키 코드
#소문자a 는 97부터 대문자 A는 65부터
더보기

data1 : 10
data1 : 10
data2 : 10.4231
data3 : A
data3 : A
data : B
data : C
data : D

 



형변환
1. 자동 형변환 : 연산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변환되는 것
정수 + 정수 = 정수
정수 + 실수 = 실수

3 + 0.0 = 3.0

아스키 코드 또한 자동 형변환이라고 할 수 있다.

print(10/3)          > 3.3333333333333335
print(10//3.0)       > 3.0
 

2. 강제 형변환
자료형(값)
int(10.98) == 10

print(float(10)//3)    >3.0


아스키 코드 
컴퓨터가 문자를 기억하고 있는 정수 값
A : 65
a : 97


다음 시간 : 왜 아스키코드를 배우나? (암호화 / 복호화) 
 

'language > pyth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산자  (0) 2022.05.04
암호화, 복호화, 입력함수  (0) 2022.05.03
서식문자  (0) 2022.05.01
변수가 선언되는 과정에 대한 이론 설명  (0) 2022.05.01
주석 달기  (0) 2022.05.01